- 소방기계
화재시 불을 끄기 위한 설비로 기계실의 물탱크에서 시작하여 소방펌프를 통해 물을 끌어올려 각 층의 스프링클러와 옥내소화전/옥외소화전으로 공급하는 흐름이다. 스프링클러 반경(2.3m) 이나 벽에 매입식으로 설치되는 옥내소화전함 정도만 기억해줘도 될 듯 하다. 천장에 들어오는 설비들이 서로 자리가 겹치지 않게 잡아주는 것도 신경써주어야 한다.
1. 요소별 흐름
물탱크(소화용수확보) -> 소방펌프 -> 스프링클러(상향or하향) / 각 파트별 종,횡방향 내진설비(브레이스)
물탱크(소화용수확보) -> 소방펌프 -> 옥내소화전함
소방차(소화용수부족시) -> 옥내소화전 연결송수구 -> 옥내소화전함 / 스프링클러
각 층 소화기 배치
![](https://blog.kakaocdn.net/dn/dd24PM/btqEeZCGDqa/TKo3GJ5WqqB4ryGPqwkYqk/img.png)
-
- 소방전기
3가지로 구성된다. 1. 화재를 인식하고 -> 2. 사용자들에게 알리고 -> 3. 피난도움/연기차단 제품들에 대해 다루는 부분이 크다. 배관배선에 대해선 전부 알기 힘들고, 계획시에는 MDF실의 크기, 방화셔터, EPS실 크기 정도를 엔지니어링 업체와 협의하여 고려하면 된다.
1. 화재의 인식
자동화재탐지설비(연기식, 정온식, 차동식) -> 주 수신반(MDF실)
수동발신기(소화전 상단형 set) -> 주 수신반(MDF실)
2. 사용자들에게 알림
주 수신반(MDF실) -> 모터사이렌 -> 사용자
주 수신반(MDF실) -> 시각경보기 -> 사용자
주 수신반(MDF실) -> 비상방송설비(Main Amp -> 방송단자함(각층) -> 스피커) -> 사용자
3. 피난을 도움 / 연기를 차단
MDF -> 방화셔터 (아트리움의 열린부분 / ELV 홀 / 주차램프)
비상발전기 or 베터리 -> 피난유도등 설비
비상발전기 or 베터리 -> 피난유도선 설비
비상조명설비 (지하,주방,창고 : LED원형직부등 / 일반실 : LED다운라이트 / 계단: LED센서등)
![](https://blog.kakaocdn.net/dn/bN6AyV/btqEfXLb9MV/yocSwwUs8KBCPDYlrBkve1/img.png)
'건축관계전문분야 > 건축소방(피난,방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트층/피트공간/EPS/TPS - 점검구,소방설비 기준!(2021.11) (7) | 2021.11.04 |
---|---|
내화구조와 불연재료!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들 (0) | 2021.10.05 |
노유자시설의 소방시설(피난기구)과 피난공간 적용기준?(21.05) (7) | 2021.03.26 |
건축물의 대피공간. 설치대상과 규모는? (2020개정) (0) | 2020.11.26 |
(건축소방) 방화구획기준과 배연창 설치대상/ 기준? (2)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