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기계실/전기실의 단열, 방수와 층고 지하 최하층의 냉난방공간 / 비냉난방공간 지하, 그 중 최하층의 공간은 지반과 맞닿아 있는 곳입니다. 때문에 지반으로부터 전해지는 습기를 막고, 지반으로 열을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와 단열처리를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외부와 직접적으로 이어진 주차장이나, 기계설비실은 사람이 상시 머무는 곳이 아닌 비냉난방공간이기 때문에 보통 단열처리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방수처리는 더욱 철저하게 합니다. 방수는 크게 벽과 바닥방수로 나뉩니다. 벽 방수는 방수판과 공기층을 이용합니다. 콘크리트 벽체에서 80mm정도의 공기층이 있고, 20mm 정도의 방수판을 설치합니다. 방수판이 아니라면 조적벽(90mm)을 설치합니다. 바닥방수는 배수판과 트렌치를 이용합니다. 배수판(45mm)을 구조체 바로 위에 깔고, 그.. 건축실무/실시설계, 디테일 2년 전
(실시) 바닥 온수난방 디테일 - 따뜻한 생활을 위한 바닥난방을 할 때, 어떤 원리로 구성이 되고 시공이 되는지 알아보자. 01. 단열재 or 층간소음재 난방코일에서 나오는 열이 아래로 새지 않도록 단열재를 깔아준다. 다른 현장은 소음방지를 위해 층간소음재를 깔아주는 곳도 있다고 한다. 콘크리트 슬라브를 쇠흙손으로 마감한 다음, 슬라브의 요철이나 홈에 자갈이나 모래를 깔아 평활도를 맞춰주고, 그 위에 단열재를 깔아준다. 02. 경량기포콘크리트 단열재를 깔았다면, 그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시공한다. 이것은 위에 올라오는 난방코일을 깔기 쉽게 평활도를 맞춰주는(self-leveling) 역할과, 시멘트 입자 사이의 기포가 단열역할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03. 난방코일 + 방통콘크리트 경량기포콘크리트 양생을 마친후 난방코일작업을 실시한.. 건축실무/실시설계, 디테일 5년 전
(실시)지붕, 중정, 바닥디테일 지붕층지붕층 방수법(파라펫, 방수페인트, 방수벽돌, 트랜치, 방수판) / 옥상데크바닥 디테일 / 조경이 들어간다면 / 단열 중정전면창과 상하부의 단열을 잇는 방법 / 콘크리트 수벽 최소한으로 치고 철물로 보강 1층과 2층 사이 (외장재 변화)최근 다세대주택 (필로티사용) 등에서 자주 보이는 후레싱 감기 방식 지상층 바닥장애인경사로, 대지안의 조경을 위한 토심깊이, 1층 레벨링 (범람시 물이 침범못하게), 지하층 방수계획(새지 않도록) 건축실무/실시설계, 디테일 5년 전
(실시)단면도디테일 피드백-1 01. 지붕층 부분의 디테일 수정 : 방수콘크리트30 - 무근콘크리트220 - 나무데크 50 으로 산정 02. 지붕 물막이를 위한 콘크리트 - 방수를 위한 벽돌 - 데크 둘러싼 트랜치의 활용 03. 엘레베이터 아래로 1400의 기계가 들어오는 공간 필요 04. 지하 2층 집수정으로 흘러들어가는 트랜치(100x200mm)를 벽 끝단에 무근콘크리트 둘러치기 05. 기계실과 지하층에 방습벽 설치 (70 띄고 THK30 짜리 방수보드로 대체) 06. 단열재 두께 : 벽-THK80 / 지붕,지하층 - THK100 / 바닥 - THK180 건축실무/실시설계, 디테일 5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