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도면넘버링 : A00-003 - 같은 종류는 앞부분으로, 뒷부분은 같은 범주의 도면의 넘버 / 대략 도면마다 숫자 있음
02. 일반사항 / 약자 : 메뉴얼이므로 회사 내규에 따른다.
03. 구적도 : 땅을 직각삼각형으로 나눔. Excel에서 대지면적에 맞추어 약간씩 조절해야 한다. 공무원소통용도
04. 배치도 : 표현 - 대지로부터의 이격거리 / 땅의 레벨
*접도경계선 : 토지이용계획확인원에서 접도지역이라고 나오면 도로에서 5m 띄어야 한다.
*대지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건축이 가능한 부지로 전환하는 것은 측량사무실에서 진행한다.
05. 대지종횡단면 : 표현 - 대지 이격(처마 끝- 대지경계선) / 건축단면은 최대한 심플하게 표현 / 종(X), 횡(Y)
06. 바닥면적산정 : Center 선 (벽체중심선) 기준으로 산정 / 건축면적은 건폐율 , 바닥면적은 용적율
* 외단열 - 구조물의 센터가 기준 (바닥면적이 적게잡힌다는 이점이 있음) 단, 창이 있을 때에는 프레임의 센터로 잡음
* 내단열 - 전체벽체의 센터가 기준
* 구조물에서 1m까지의 처마는 건축면적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ex. 1.5m 처마가 나 있으면 0.5m는 건축면적포함
07. 오/배수 계획 : 맨홀은 Lv차가 심한 부분 / 여러 방향에서 물이 모일 때
08. 실내마감표 : 재료마감상세도와 코딩
* 실 번호는 위-아래, 왼-오 순으로 부여. 단, 같은 영역 안에 있다고 판단되면 인접번호로 부여
* 바닥 : 제일 위에 있는 재료(1st layer)를 표기 / 두께는 전체마감두께로 표기 -> 재료두께는 THK10재료명 식으로 표현
* 천장 : 오픈실링의 경우 보로 인해 높이가 다양함으로 천정고를 VAR로 표기
* 벽 : 벽
* 걸레받이 : 주로 주거인테리어에 사용.
09. 평면도 : Layer 준수, DIM은 소수점 안떨어지도록.
* 지붕도 : Lv 표현하기 / 슬로프로 물이 흐르는 방향 표기
10. 입면도 : 축열과 외장재 표기
11. 단면도 : 기초-구조-바탕-마감 의 재료와 시공방법
* 잡석(지내력 확보) - 0.05mm 필름2장(버림콘크리트 수분 안빠지게, 구멍 뚫릴까 2장) - 버림콘크리트 - 보온판(냉기로부터 보호) 순으로 기초를 치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하고 바닥슬라브를 친다.
* 스케일을 변경할 때 주석(글자) 스케일을 바꾸는 방법이 있는데, 추후에
12. 확대평면도 : 표현 - 벽체 두께 / Finish to Finish 안목치수
* F01, W03 등 실내마감을 대강 볼 수 있도록 도면비고란에 넣어준다.
* 보통 한장에 다 안되기에, 평면을 잘라 여러장으로 표기한다. -> 넘어가는 DIM은 10,700 to Axis 식으로 표현
13. 확대천장도 : 표현 - 해치와 조명
* 실링 높이에 따라 다른 해치를 적용해준다. / Block화된 객체에 따라 조명 정보를 파악한다.
* 조명의 배치 : 행과 열 맞추기 / 조도확인 / 사용자 관점에서 같은 축선 상에 맞아떨어지도록(삐뚫어지면 싸게싸게 지은 듯한 인상을 준다)
14. 창호안내도 : 육각형은 창호 / 원형은 문이다. 모든 개구부에 전부 매겨야 한다.
* 평면 상의 가구는 모두 OFF , 중요 벽체만 남긴다.
* AW : 알루미늄 창호 / SD : 스뎅 문 / WD : 목재 문 등으로 표현한 후 , 밑 부분에 번호를 매겨준다.
15. 창호일람표 : 표현 - 프레임의 종류, 유리의 두께, 마감철물 / 개소(갯수) -> 창호업자가 이것으로 견적을 낸다.
* 커튼월같이 창호면적이 클 경우 하나의 페이지에 다 넣을수도 있고, 특수창의 경우 개별적으로 넣을 수도 있다.
* 문/창호 모두 바닥마감선을 표기한다. (바닥과의 관계 - 매입식인지 등의 여부 확인)
'건축실무 > 중간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정판) 건축 재료마감표/일람표를 제대로 작성하려면 (0) | 2020.06.17 |
---|---|
건축 단열계획도를 그려보자 (0) | 2020.04.20 |
옥외광고물 계획도 작성하기 (0) | 2020.03.10 |
단열 및 흡음계획도 잘 그리기 (0) | 2020.02.11 |
[건축단면도] 작성 TIP과 유의사항 (0) | 2020.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