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壓出成形 시멘트-板의 槪論
1.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개념)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주원료인 시멘트를 패널 형태로 진공/압출하여 경화시킨 건축마감재이다. 경량의 시멘트-판으로 만들어진 마감면은 별도의 도료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 고유의 회백색 색상을 자연스럽게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 국내에서는 2008년부터 ‘석면(石綿 / asbestos)’이 포함된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2.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조)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조 공정은 다음을 참고한다.
1) 원료배합 후 압출성형
2) 1차 양생 – 60˚ 증기(steam) 양생
3) 1차 가공
4) 2차 양생 – 고온고압(autoclaved) 양생
5) 2차 가공
6) 출하
3.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구성)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구성요소는 다음을 참고한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바탕틀 – 구조물에 긴결된 철제 각-파이프 틀(방청처리)을 바탕면으로 사용한다.
2) 마감
(1) 압출성형 시멘트-판
a. 평판
b. 코너-판 (인방)
c. 두겁대
(2) 고정철물
a. 전용 고정철물로 마감과 바탕을 연결한다.
b. 수평(가로) 고정방식 – L-클립(clip)
c. 수직(세로) 고정방식 – Z-클립(clip)
(3) 차수재 – 고무-패킹
(4) 줄눈 – 백업-재 후 실런트 코킹
4.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특성)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특징은 다음을 참고한다.
1) 장점
(1) 50㎏/㎡ 정도의 경량마감재이다.
(2) 제품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강도가 높다.
(3) 차음성 / 내화성 / 단열성이 좋다.
(4) 고압증기양생으로 시공 후 수축 / 팽창 / 뒤틀림이 없다.
(5) 타일 / 본타일 / 페인트 등의 자유로운 마감시공이 가능하다.
2) 단점 – 자주 우수에 노출되는 경우, 오염 또는 변색의 우려가 있다.
5.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유형) 압출성형 시멘트-판은 형태(용도)에 따라 다음의 종류가 있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일반(평판)형
(1) 벽/바닥에 사용하는 평판 패널이다.
(2) 표면 질감에 따라
a. 평면(flat)형
b. 리브(rib)형
c. 노출콘크리트(concrete)형 – 폼타이 구멍 Ø30, 깊이 30 (협의 조정 가능)
2) 코너형
(1) 외벽 외모서리 또는 계단 외모서리에 사용하는 패널이다.
(2) 한쪽 모서리가 마감면으로 만들어져 있다.
6.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제품규격) 설계 시 제품규격은 전문생산회사에 반드시 확인한다. – 베이스패널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제품코드 |
단면의 형상 (용도) |
표준폭 |
최대길이 |
BP-2040 |
(내장용 / 지하 이중벽) |
400 |
2,400 |
BP-3550 |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
500 |
2,700 |
BP-3560 |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
600 |
2,700 |
BP-5050 |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
500 |
4,000 |
BP-5060 |
(외장용 / 내장용 / 바닥용) |
600 |
4,000 |
BP-6050 |
(외장용 / 내장용) |
500 |
5,000 |
BP-6060 |
(외장용 / 내장용) |
600 |
5,000 |
BNS-5050 |
(외장용 / 내장용 / 차음벽) |
500 |
4,000 |
L-145 |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60 * 145 |
4,000 |
L-300 |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 계단) |
60 * 292 |
4,000 |
L-430 |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 계단) |
60 * 430 |
5,000 |
L-600 |
(외장용 / 내장용 / 코너용/ 인방용 / 두겁대) |
60 * 592 |
5,000 |
7.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용도) 압출성형 시멘트-판의 사용범위는 다음을 참고한다.
1) 외벽마감
(1) 수평(가로)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서울 연동교회 가나의 집 (건축사사무소 OCA 설계)
경기 고양시 풍동도서관 (인터커드 건축사사무소 설계)
(2) 수직(세로)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경기 동탄 P&P 메디컬센터 (㈜네오건축사사무소 설계)
인천 경원초등학교 (디엔비건축사사무소 설계)
서울 신사동 예화랑 (운생동 건축사사무소 설계)
(3) 수평 + 수직 부착방식 –
㈜테크월 www.tecwall.kr 참조
대구 근로복지공단 대구산재병원 (건축사사무소 OCA 설계)
(4) 수직 차양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서울 숭실대학교 학생회관 (가아건축사사무소 설계)
인천 주안6동 주민자치센터 (일사공구건축사사무소 설계)
2) 옹벽마감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수평(가로) 부착방식 – 코너형
서울 성북동 주택 (태제건축사사무소 설계)
3) 참고) 바닥마감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1) 바닥 부착방식
경기 고양시 풍동도서관 (인터커드 건축사사무소 설계)
(1) 계단 부착방식 –
벽산베이스아이엔씨㈜ www.bace.kr 참조
경기 파주시 사계절출판사 (가와종합건축사사무소 설계)
출처 : 아키데이타(http://www.archidata.co.kr/filebase/Data/52593/db406.htm)
'건축자재 소개 > 건축재료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장재)세라믹 패널의 종류와 특징 (2) | 2020.05.13 |
---|---|
(외장재)알루미늄 복합패널 (0) | 2020.05.13 |
[외장재] 건축석재TIP : 종류, 사용부위, 장단점과 단가 (0) | 2020.03.17 |
[바닥재] 바닥재의 종류, 특징, 명칭, 두께(20.02.05) (0) | 2020.02.05 |
(바닥) 비닐무석면타일 (디럭스타일)과 데코타일(p-tile) (0) | 2020.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