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도면은 크게 전등/전열의 계통도, 평면도, 상세도로 구성되어 있다.
전등은 형광등, 백열등, LED등, 그리고 경관조명에 쓰이는 특수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전열은 약전/ 강전으로 나누어 약전은 전화, 인터넷 등 통신관련 / 강전은 전자제품을 꽂는 콘센트 관련 계통이다.
* 도면이 복잡해 질 수록 약전인 통신도면은 따로 그리게 된다. 구성이 단순한 건물은 둘을 함께 표시한다.
건축가의 입장에서는 전부 이해할 필요는 없고, 강전과 약전 콘센트가 어디에 있었으면 좋겠다거나, 어느정도 높이에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줄 수 있다. 전기 맨홀이나 분전반도 관리하기 편한 장소에 설치해달라고 할 수 있다.
-
1. 전기실 확대평면도
전기실, 발전기실의 크기와 위치는 기본적으로 전기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결정한다. 연면적과 용도, 사용기구와 주변의 전기환경(발전소, 지하매입선 등)을 참고자료로 첨부한다.


자세한 설치기준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도록 하자.
전기실, 발전기실 및 통신실 설치기준
전기실, 발전기실 및 통신실 설치 기준은 기본계획시 건축분야와 협의하면서 위치 및 실의 크기등을 결정하...
blog.naver.com
-
한전PAD를 통해 들어온 전기가 건물 내부의 전기실, 발전기실에 저장되어 스프링쿨러, 비상전원과 각종 설비의 동력원이 된다. 전기실에서 전기는 케이블트레이를 따라 EPS를 통해 각 층 / 가게의 분전반으로 통하게 되고 분전반은 각 층의 전력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각 층의 전기는 냉난방설비(1way~4way,single), 전열(콘센트,스위치), 전등, 전열교환기(슬라브매입) / 접지 및 피뢰설비, 주차관제설비, 전기천정설비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처음에 범례 -> 계통도 -> 장비일람표 -> 기계실이나 발전기실의 확대평면도 -> 각 층 설치평면도 -> 설비의 상세도 순으로 도면을 전개해나간다.
- 관련도면
분전반 결선도
냉난방설비
전열 전등설비
전열교환기 설비
접지 및 피뢰설비
주차관제설비
전기 천정설비
'건축관계전문분야 > 기계, 전기,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식 주차장의 종류와 스펙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7.31 |
---|---|
건축통신도면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19 |
정화조와 오수처리시설의 개념과 차이점 (0) | 2020.04.13 |
전열교환기? 환기장치?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3.27 |
기계실의 구성 자세하게 알아보기 (2) | 2020.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