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계단실의 크기와 해당 층의 층고는 관련되어있다.

02. 모델링
모델링을 할 때, 부분(슬라브 - 벽 - 보 - 외피) 별 높이는 기존의 층고를 매기는 방식과는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기존층고 : 피니싱마감높이 - 피니싱마감높이 (4200 = 천정고 + 윗 층 바닥두께)
모델링 그루핑 : 슬라브시작높이 - 슬라브시작높이 (4200 = 천정고 + 해당 층 바닥두께)

어떤 층의 층고가 4200이라고 가정해보자.
- 바닥의 두께 : 150으로 가정한다.
- 벽의 높이 : 4200 - 150 = 4050
- 기둥의 높이 : 4200 (바닥과 겹쳐도 단면 끊을 때 아랫층과 연결되어보이기 위함)
- 보의 두께 : 필요두께(900) - 윗층 슬라브 두께(150) = 750
- 외피의 높이 : 4200
이렇게 설정하여 층 별로 모델링하여 적층하는 방식으로 모델링을 하면 -

이런식으로 모델링을 하면 얻는 장점들이 있다.
1. 층 별 관리가 가능하다. (후에 층별 인테리어 작업할 때 빠르게 진행)
2. 추후에 외피 부분만 따로 그루핑하여 스터디가 가능하다.
3. 층 별 합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반응형
'건축실무 > 계획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변경) 도면수정, 도면변경 작업TIP (0) | 2020.09.16 |
---|---|
(건축)지하주차장 설계시 알아야 할 사항들 모음 (4) | 2020.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