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일기 SPACE DIARY :: 하수 오수 폐수의 차이점
반응형

건물에서 사용되는 각종 물의 종류를 알아보자

 

하수의 정의

사람의 생활이나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물질이 섞이어 오염된 물(이하 "오수"라 한다)과 건물ㆍ도로 그 밖의 시설물의 부지로부터 하수도로 유입되는 빗물ㆍ지하수를 말한다. 다만, 농작물의 경작으로 인한 것을 제외한다.

-> 빗물 등 우수와 오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 즉 하수관으로 들어가는 물을 하수라고 함.

폐수의 정의

물에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수질오염물질이 혼입(混入)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말한다.

-> 공장에서 사용되고 버려지는 물

오수의 정의

오수는 각종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더 이상 쓰지 못하게 된 물을 말한다.

-> 화장실, 설겆이, 빨래 등 집에서 쓰고 나오는 물

예를 들면, 식료품을 제조 하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것을 폐수라 지칭하는 데, 이것이 결국 하수관으로 들어가게 되면 하수라고 보는 것임. 하수관으로 유입되기 전에, 폐수는 이미 폐수처리시설을 통해 처리가 되기 때문에 하수관으로 유입이 된 후로는 폐수로 볼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같은 이치로, 오수가 하수관으로 유입되면 이것도 역시 하수가 되는 것이다. 빗물, 오수, 각종 물등이 하수로 유입된다면  그것을 하수라 보면 됨. 

 

 

오수맨홀(좌) / 우수맨홀(우)

 

오수맨홀은 악취문제 / 빗물이 들어갈 시 오수의 양이 많아지는 걸 방지하기 위해 구멍이 없다. 우수맨홀은 최대한 많은 빗물을 유입시키기 위해 구멍이 많다.

합류식 관거와 분류식 관거 

관거 : 하수도에 사용하는 도관을 총칭하는 말이다.

합류식 관거 : 우수와 오수를 같은 관으로 흘려내는 관거. 건물 내의 오수와 건물 외부의 우수를 같은 하수관으로 흐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한국은 주로 합류식으로 되어있으며, 처리장까지의 도중 빗물 배출실을 설치하여, 빗물에 의한 유량이 오수유량의 2~3배가 될 때 하수를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한다.

분류식 관거 : 우수와 오수를 별도의 관으로 나누어 흘려내는 관거. 건물 내 오수와 건물 외부 우수를 별도의 하수관으로 흐르도록 한다. 합류식관거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현재는 이 방법이 장려된다. 

건물 내부 배관을 구성할 때

샤워실, 부엌, 각종 수전에서 나오는 물과 변기에서 나오는 물이 같은 배관을 타고 들어가면 하수구에서 냄새가 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화장실(똥배관)은 오수관 / 기타 다른 물들은 하수관으로 구분하고 2개의 관이 건물 밖으로 나가 같은 오수관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자.

 

반응형